소비에트 몽타주 (Soviet Montage)
소비에트 몽타주 - 푸도프킨(V. I. Pudovkin)과 에이젠슈타인(S. M. Eisenstein)을 중심으로 - "몽타주는 단순히 숏과 숏의 결합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, 시각적, 청각적, 극적 요소 등을 특정한 미학적 목적을 위해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." 김용수, 『영화에서의 몽타주이론』(서울: 열화당, 1996), 13. (1925년), 에이젠슈타인(S. M. Eisenstein) 1. 역사적 배경 1908년, 최초로 러시아 영화촬영소가 모스크바에서 작업을 시작하였으나 그 당시 상황은 극장도 별로 없었을 뿐만 아니라, 표도 비싸서 대중(노동계급)들은 영화관에 갈 능력이 되지 못하였고, 높은 문맹률은 인쇄된 자막을 부담스럽게 여기게 되어 러시아 영화는 대중적인 예술로 나아가지 못하였다. 그리고 ..
더보기
독일 표현주의와 영화
독일 표현주의와 영화 & Wassili Kandinsky 표현주의는 개연성과 모사의 원칙을 벗어나서 자립적인 색체와 은유를 지향하는, 곧 추상성을 지향하는 운동이며, 형식적 원칙에 구애받지 않고 표현하고 창조하려는 열렬한 욕망이며, 순전히 사사로운 것, 개인적인 것 대신에 전형적인 것, 본질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며, 환희와 절망에 탐닉하는 까닭에 과장된 것과 괴기한 것으로 기우는 경향이며, 계시적인 뉘앙스가 빈번히 나타나는 신비롭고 종교적이기까지 한 현상이며, 자연주의적 입장이 아니라 보편과 본질의 관점에서 본 도시와 기계에 대한, ‘지금 이곳’에 대한 위기의식이며, 전통에 거슬러 모반하고 새로운 것, 이상스러운 것을 그리워하는 충동이다. - R. S. Furness. 19세기로부터 20세기로의 이행속에..
더보기